올림픽 앞둔 태극전사들 해병대 캠프 입소…"결의 다지는 계기"
최근 국제사회에 비슷한 움직임이 있다.
버크의 보수주의는 전통주의·질서주의·점진주의를 앞세워 계몽주의의 진보에 맞서는 이념적 대항 거점을 선사했다.사회가 이성보다 도덕과 관습으로 재생산되며.
미국 레이건 정부와 영국 대처 정부는 그 성공 사례였다.결코 나만은 아닐 것이다.이 주제를 꺼낸 것은 내년 4월 10일 총선에서 보수와 진보가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르기 때문이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이번과 다음 칼럼은 우리 보수와 진보의 선 자리와 갈 길을 계속 다룬다는 점을 미리 밝혀두고 싶다.서구사회에서 보수의 고전적 기초를 세운 이는 18세기 후반에 활동한 영국 정치가인 에드먼드 버크다.
두 번째 혁신은 좌파의 ‘제3의 길을 벤치마킹한 2000년대 초반 ‘우파적 제3의 길이었다.
특히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은 기성 정치인들을 기득권자로 공격하고 외국인 노동자를 적대시하며 리버럴한 개인보다 ‘위대한 미국이라는 국가주의를 앞세우는 전략을 구사했다.박세일의 선진화론이다.
결코 나만은 아닐 것이다.사회가 이성보다 도덕과 관습으로 재생산되며.
0이 가야 할 길일 것이다.그 방향은 가시화된 신냉전 질서에 대처하는 안보 역량과 가속하는 과학기술혁명을 선도하는 경제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따듯한 사회통합이라는 보수 본래의 가치를 구현하는 데 있었을 것이다.